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23

문제행동조절법2편: 생떼부리지 않기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이번 문장에서는 아이와의 소통중에서 생떼에 대한 저의 마인드를 공유해드리고 싶습니다. 생떼는 왜 생길가요 ? 제가 보았을때 아이가 부리는 생떼는 자신의 요구사항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확인하는 요청입니다. 아이가 부모에게 어떤 요구를 제출했을때 이건 할거다 아니면 안할거다 명확하게 결론을 지어주면 아이는 생떼를 안부립니다. 혹은 좀 떼를 부려보다가 포기합니다. 부모의 태도에 대한 확인이 끝났기때문입니다. 여기까지 보시면 아마 많은분들이 그러실겁니다. 안해줄거다 하면 생떼를 더 심하게 부리던데… 저는 이런 상황을 만나면 두개 절차로 나누어서 처리합니다. 첫째는 먼저 아이가 그토.. 2024. 5. 29.
불안함때문에 죄책감을 가지지마세요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며칠전에 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자학부모간담회가 있어서 다녀왔습니다. 올해에 1학년에 새로 입학한 특수학급 아이들의 부모님들은 불안에 대해서 위주로 많이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얘기를 들으면서 마음이 아프기도 하고 옛날일들이 떠오르기도 하고 많은 감정이 오고갔습니다. 이번 문장에서 특수교육대상자학부모로서 불안함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고싶습니다. 저의 기억에 아이가 입학할때에는 한글은 자기이름이나 쓸 정도였고 숫자는 1-5까지밖에 몰랐고 말은 구사자체가 안되는 상황이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가 완전 모르는 낯선곳에 가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똑마치 아이를 물가에.. 2024. 3. 9.
바우처의 의미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이번 문장에서는 바우처에 대한 저의 마인드를 공유해드려보고싶습니다. 특수교육대상자일 경우에 한달에 얼마정도 치료지원으로 바우처가 나옵니다. 그런데 사실 바우처가 금액이 얼마 안됩니다. 가끔은 엄마들사이에서 바우처가 나오면 자랑으로 여기는 엄마들도 보입니다. 이럴때면 감정이 복잡합니다. 사실 바우처가 나오는 의미는 치료비용에 보탬이 되라고 나오는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먼저 아이에게 적합한 치료시설을 찾고 적합한 치료서비스를 구매하고 그 다음에야 바우처로 나오는 돈으로 지원을 받는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에 보면 가끔씩 그런 엄마들을 만날때가 있습니다. 서로 아이가 특수교육대상자의.. 2024. 2. 27.
특수교육대상자 & 학교갈등4편: 대화의 필요성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이번 문장에서는 에 이어서 들어가보겠습니다. 제가 에서 이런 말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믿음의 시작은 마음이 열려야 합니다. 그렇다면 마음이 열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가요 ? 바로 공감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공감은 매개체가 있습니다. 그 매개체가 바로 대화입니다. 공감은 대화를 통해서 진행됩니다. 저의 생각에 저처럼 아이가 언어발달지연이라서 학교에서의 일상이 전달이 안되는 학부모들에게는 아이의 학교일상만큼 궁금한 일이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궁금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여쭤봐야죠. 누구한테 여쭤보아야 할가요 ? 아이의 일상을 지도해주시는 담임선생님한테 여쭤볼수밖에 없습니..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