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란10

사교육8편: 경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이번 문장에서는 에 이어서 들어가보겠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쟁”이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그렇다면 경쟁은 어떻게 생겨나는것일가요 ? 공급과 수요의 관계로부터 출발해서 보겠습니다. 공급업체A가 있고 소비자가 두명 있다고 가정합니다. 소비자가 각각 사과 한알씩 수요된다고 가정합니다. 이런 경우에 공급업체A가 사과 두알을 제공하면 두명의 소비자가 서로 사이좋게 한알씩 나누어 가지면 됩니다. 그런데 이때에 만약 공급업체가 사과 한알만 제공한다면요 ? 두명의 소비자가 그 사과 한알을 가지기 위헤서 경쟁하게 됩니다. 가장 쉽고 직접적인 경쟁방식은 가격책정입니다. 소비자가 높.. 2024. 8. 21.
사교육7편: 교육에 전문가가 있을가 ?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에 이어서 들어가보겠습니다. 교육이라는 단어를 보면 가르칠 교(敎)자 에 기를 육(育)자, 이렇게 두글자의 결합입니다. 그럼 여기서 문제가 나옵니다.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치고, 무엇을 기르고, 어떻게 기를것이냐 ? 첫째, 무엇을 가르칠것인가 ? “가르친다”는 말이 나오면 사람들은 가장 먼저 국어, 수학, 외국어, 과학 등등 지식을 떠올립니다. 물론 교육자가 아이들에게 지식을 가르쳐야 합니다. 하지만, 오로지 지식만 가르쳐주면 될가요 ? 만약 지식만 가르쳐주는것으로 충분하다면 이런식의 이른바 “가르침”은 쌀포대에 쌀을 부어넣는 단순작업이랑 과연 다른점이 몇개나 있을가.. 2024. 2. 24.
사교육6편: 선행학습-교육의 속도초과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에 이어서 들어가보겠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속도초과때문에 과태료고지서를 받아보신적이 있으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태료는 저희가 지켜야 하는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 부과됩니다. 혹시 그거 아시나요 ? 교육에도 지켜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이가 지식을 배움에 있어서 매개 연령대마다 해당 나이와 지력수준에 맞는 내용범위가 서로 다르다는것입니다. 적당한 연령에 적당한 내용을 배워야 합니다. 아이들의 교과서를 보면 아이들의 대응 연령대 및 지력수준에 맞게 편찬이 잘 되어있습니다. 제가 보았을때는 교과서의 진도만 잘 맞추어준다면 아이들은 온전하게 차근차근 한보한보.. 2024. 2. 5.
어린이들에게 예쁜 말을 사용해주세요 견지맘 @Sarah_Kim73889 트위터검색창에 “견지맘”으로 검색하면 뜹니다. 아이디 확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견지맘입니다. 이번 문장에서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사용하는 말투 및 어조 등에 대해서 저의 생각을 공유드려보고 싶습니다. 한참 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하루는 아이가 하교하고 학교에서 나와서 학교근처에 있는 화장실을 사용하였습니다. 남자화장실이라서 제가 따라들어갈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아이가 들어가서 1분도 안되는데 화장실에서 누군가 굉장히 높은 소리로 저의 아이에게 뭐라 하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성인의 목소리였습니다. 그래서 제가 바로 화장실 입구근처로 가서 아이를 불렀습니다. 제가 아이를 부르는 소리가 들리자 그 성인의 소리가 금방 사라지는것이었습니다. 상대방과 엮여서 불그락푸르락 하.. 2024. 2. 1.